전체 글
-
태조가 백관의 추대를 받아 수창궁에서 왕위에 오르다 (태조실록 1권, 태조 1년 7월 17일 병신 1번째 기사 1392년 명 홍무(洪武) 25년)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025. 2. 14. 16:53
태조실록1권, 태조 1년 7월 17일 병신 1번째기사 1392년 명 홍무(洪武) 25년 📜 " 이하 모두 재미로 읽는 것이니 해석의 정확성 등으로 왈가불가는 하지 마세요!!! 그것 따지는 순간 스트레스만 받아요~"✨ 고려의 마지막과 조선의 시작 – 태조의 왕위 쟁탈전1392년, 고려의 운명은 기울고 있었다.왕위에 있던 공양왕은 사실상 허수아비였다. 신하들은 이미 마음을 정했고, 태조 이성계를 왕으로 옹립하려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1단계: “이제 물러나시죠”배극렴과 정도전 등 핵심 신하들이 왕대비에게 말했다.🗣️ "공양왕님은 백성들의 신임을 잃었으니 더 이상 나라를 이끌 수 없습니다. 왕위를 내려놓게 하시죠!"👑 왕대비: "알았다. 폐위해라."🫠 공양왕: "나도 사실 왕 하기 ..
-
🔍 "易"의 한자 및 용례변화의 준비(1) 2025. 2. 12. 08:47
📖 "易(역)"의 한자적 의미와 용례 정리"易(역)"은 다양한 뜻과 용례를 가진 한자로, 동양 철학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한자어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이 글에서는 "易"이 포함된 한자어와 그 의미를 철저하게 정리하겠습니다.🔍 "易"의 기본 의미"易"은 크게 다음 네 가지 주요 의미로 사용됩니다.1️⃣ 변화(變化) → 변화하다, 바뀌다2️⃣ 쉬움(簡單) → 쉽다, 단순하다3️⃣ 거래(交易) → 교환하다, 사고팔다4️⃣ 점(占卜, 예측) → 미래를 점치다이제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관련 용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易"의 의미별 용례 정리1️⃣ 변화(變化)의 의미로 쓰이는 "易"✅ 變易(변역) → 변화하여 달라짐✅ 改易(개역) → 고쳐서 바꿈✅ 無常(무상) → 항상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많음 ("無常..
-
📖 주역에서의 음양과 강유 개념변화의 준비(1) 2025. 2. 12. 07:15
『주역』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음(陰)과 양(陽)"입니다. 하지만, 『노자』에서는 음양보다는 "유(柔)와 강(剛)"이라는 개념이 더 많이 등장합니다. 📌 음양과 강유의 차이점『주역』에서는 음과 양이 중심적인 개념으로 등장하지만, 『노자』에서는 유약(柔弱)과 강개(剛强)의 개념이 강조됩니다.특히, 『노자』에는 음과 양이라는 단어가 단 한 번만 나오며, 그마저도 확실한 의미로 사용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음양과 강유의 개념 비교📖 강유(剛柔)란 무엇인가?"강(剛)"은 강하고 단단한 것을 의미합니다."유(柔)"는 부드럽고 연약한 것을 뜻합니다.📖 음양(陰陽)과의 차이점강유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개념과 더 가깝습니다.예를 들어, "강하다, 딱딱하다"는 것은 구체적인 감각과 연결됩니다.반면..
-
역경과 변화: 이간·변역·불역이 설명하는 우주의 원리카테고리 없음 2025. 2. 12. 07:02
🔄 역(易)의 세 가지 의미: 변화를 넘어선 조화의 원리우리는 흔히 역(易)을 ‘변화’라고 이해합니다. 『역경(易經)』이 영어로 "The Book of Changes"라고 번역되지만, 역(易)의 개념은 단순한 변화 이상의 깊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고대 동양 철학에서는 역(易)이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우주를 운영하는 근본적인 원리라고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역(易)이 의미하는 변화란 무엇이며, 그 속에는 어떤 철학적 개념이 숨어 있을까요?📖 역(易)의 세 가지 의미중국 동한 말 학자인 정현(鄭玄, 127~200년)은 역(易)의 의미를 설명하며 세 가지 개념을 제시했습니다.1️⃣ 이간(易簡)2️⃣ 변역(變易)3️⃣ 불역(不易)이 개념들은 각각 역(易)이 단순한 변화를 넘어서 우주의 근본 원리로 작..
-
🔄 역(易)과 변화: 단순한 변동이 아닌 우주의 창조적 순환변화의 준비(1) 2025. 2. 12. 06:17
우리는 흔히 ‘역(易)’을 ‘변화’라고 번역합니다. 『역경(易經)』이 영어로 "The Book of Changes"라고 번역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변화란 단순히 무질서한 변동이 아니라, 우주적인 질서를 따라가는 창조적 과정입니다. 그렇다면, 역(易)이 의미하는 변화란 무엇이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변화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역(易)에서 말하는 변화란 무엇인가?일반적으로 변화라고 하면 어떤 것이 단순히 달라지는 과정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역경에서 말하는 변화는 소멸과 해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을 바탕으로 한 창조적 흐름입니다.📌 서양적 변화 vs. 동양적 변화서양적 관점: 변화는 종종 무질서가 증가하는 과정(엔트로피 증가)으로 해석됩니다.동양적 관점: 역(易)에서..
-
🏺 갑골문과 점술의 발전: 신의 뜻을 해석하는 기술?변화의 준비(1) 2025. 2. 12. 05:44
🔮 갑골문과 점술의 발전: 예측의 도구에서 체계적 해석으로고대 사회에서 점(占)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국가 운영과 중요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습니다. 전쟁, 농사, 정치 등의 분야에서 사람들은 점괘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려 했으며, 이를 통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신의 뜻을 읽고 방향을 결정하였습니다.특히, 중국에서 점의 기원을 추적해 보면 갑골문(甲骨文)이라는 고대 문자를 통해 점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골문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점술이 어떻게 정교하게 발전해 나갔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갑골문이란 무엇인가?갑골문(甲骨文)은 고대 중국 상(商)나라 시대(기원전 16세기~기원전 11세기)에서 사용된 가장 오래된 문자 체계로, 점을 치는 과정에..
-
『주역』, 점괘를 넘어서 철학을 읽다: 점술과 해석의 경계를 탐구하다변화의 준비(1) 2025. 2. 12. 05:13
『역』의 언어와 점괘로 읽는 철학『주역』(易經)은 단순한 점술서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인간이 자연과 우주의 이치를 탐구하는 하나의 철학적 도구입니다. 하지만 이 경전이 전하는 메시지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주역』의 언어와 점괘(卦)를 해석하는 방식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오늘날 우리는 『주역』을 고대 점술의 잔재로만 여기기도 하지만, 『주역』의 기초 개념을 살펴보면 그것이 단순한 운명 해석의 도구가 아니라 철학적 사유를 포함한 복합적인 체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점괘의 원리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주역』의 언어적 특징『주역』의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역(易)"이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입니다. 주희(朱熹)의 논의에 따르면, 『주역』은 단순히 ..
-
점역(占易)과 학역(學易): 『주역』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변화의 준비(1) 2025. 2. 12. 05:01
점역(占易)과 학역(學易): 『주역』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주역』(易經)은 동양 철학과 점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전입니다. 하지만 『주역』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주역』을 보는 시각은 "점으로서의 역"과 "철학으로서의 역"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를 각각 점역(占易, Divinatory I)과 학역(學易, Philosophical I)이라 부릅니다.📖 『주역』의 두 가지 해석1. 점역(占易, Divinatory I)점역은 『주역』을 점술서로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본래 『주역』은 고대 중국에서 점을 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육효(六爻)와 같은 점치는 방법이 발전되었습니다. 이 관점에서 『주역』은 운명을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로 기능합니..